홈 > 정보검색 > 추천도서목록 

천도서목록


 도둑맞은 집중력
도둑맞은 집중력 첨부이미지
저자
  요한 하리
펴낸곳
  어크로스
출판년도
  2023
소장도서관
 
내용
  요즘 우리는 유튜브 쇼츠 15초 영상을 다 보지 못한다. 소설이나 드라마를 볼 때는 서사보다 사이다를 찾는다. 하루에도 수백 번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수없이 전환되는 화면 속에서 긴 시간을 보내며 SNS의 좋아요나 하트 수에 집착한다. 우리는 스스로를 한심해하며 습관을 고쳐보려 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. ‘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’을 잃고 싶지 않고 남들 다 아는 ‘실시간 정보’에 뒤처지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.

그런데 왜 ‘잃어버린’이 아니라 ‘도둑맞은’ 집중력일까?

저자는 현대인의 집중력 문제가 온전히 개인에게 있다고 보지 않는다. 현대인의 ‘산만함’은 일종의 ‘산업’이다. 거대 테크 기업의 ‘감시 자본주의’(검색기록이나 SNS에서 관심사항을 분석해 개인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 등)에 의한 산물들이 우리의 뇌와 행동방식을 점거한다. 마치 예전에 화학 물질이 사람들의 몸에 문제를 일으켰던 것처럼 이러한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도 우리의 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. (저자는 이 부분을 현대인의 비만 문제와 유사하다고 말한다. 현대인의 비만율이 올라간 것은 우리가 갑자기 게을러졌거나 탐욕스러워져서가 아니다. 질 낮은 음식을 먹는 것이 당연시되고 걷거나 자전거를 타기 힘든 밀집된 도시가 건설되었기 때문이다.) 

뇌는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할 수 있다. 빠르고 번잡한 현대 사회 속에서 우리는 멀티태스킹을 하고 있다 생각하지만 그것은 순간적인 전환일 뿐이다. 지속적인 전환은 뇌가 집중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만든다. 불충분한 수면,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각성 상태, 질 낮은 식단, 놀이를 빼앗김으로써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잃어버린 현대 어린이들의 생활 또한 역시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.

그렇다면 집중력을 유지하는 건 왜 중요할까? 

‘집중력이 떨어지면 문제 해결 능력이 저하된다.’ 

저자는 집중력이 곧 ‘빛’이라고 얘기한다. ‘전 세계를 명료하게 밝혀서 우리 눈에 보이게 하는 빛’. 개인적으로는 최적의 정신 상태인 ‘몰입’을 가능하게 하고 나 자신의 생각, 목표, 꿈을 명확하게 볼 수 있게 하여 삶의 주도권을 쥐게 해준다. 또한, 다수의 사람들이 인류의 코앞에 닥친 중대한 사안을 ‘문제’로 인식하며 이를 위해 마음을 모으고 행동할 수 있게 해준다. 

소설 읽기와 딴 생각하기가 왜 중요한지, 왜 과거보다 지금에 와서 어린이, 어른 할 것 없이 ADHD 진단이 폭증했는지, 주4일제를 해야하는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는 무엇인지 궁금하다면, 그리고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인스타그램에서 ‘하트’를 몇 개 받았는지 쳐다보며 눈을 감고 싶지 않다면 지금 이 순간 한번 읽어볼만한 책이다.


목록